경제이야기

재직자 및 청년내일채움공제 조건, 신청방법

Hardy Chae 2021. 11. 22. 19:34

안녕하세요. Hardy Chae입니다. 청년들을 위해 정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정책에 대해서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재직자 및 청년내일채움공제로서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 대출, 근로장려금 제도, 희망 두 배 통장 등과 같은 청년들을 위한 정책입니다.

 

 

내일채움공제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얼마 전에 제가 직접 신청해서 받아본 중소기업 청년 전세자금 대출에 대해서 포스팅을 했었는데요.

이번에는 제가 계획 중에 있는 내일채움공제에 대해서 공부한 자료를 여러분에게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내일채움공제 구성도

 

 

내일채움공제는 청년과 재직자로 나뉘게 됩니다. 순서대로 포스팅해드릴 테니 끝까지 읽어주세요.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이 중소기업에서 오랜 기간 동안 장기근속을 할 수 있도록 기업과 정부가 공동으로 청년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대기업 재직자들과 소득 격차를 줄이고 청년 실업률 개선, 중소기업의 장기근속 지원을 위해서 청년, 정부, 기업이 하나가 되어 적립금을 모아 일정 기간이 지나면 적립급 전액과 이자를 청년에게 지급해주는 정책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의 기간은 2년으로 청년이 300만 원, 기업이 300만 원, 정부가 600만 원을 공동으로 적립하여 2년 후 1,200만 원과 이자 전액을 청년에게 돌려줍니다. 굳굳

 

2년 동안 부담해야 하는 금액은 월에 125,000원입니다. 매우 저렴하기 때문에 많이들 신청하고 계십니다.

 

 

내일채움공제 지원내용

 

 

간혹 기업에서 지원을 안 해준다는 소식이 있지만, 50인 미만의 기업에서는 정부에서 지원을 해주기 때문에 사실상 기업에서 지원하는 금액은 0원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사실을 회사에 알려서 꼭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의 가입조건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가입 조건

1. 만 15세 이상 만 34세 이하일 것 (군필자의 경우 최대 5년 복무 기간을 인정하여 39세까지 가능)

2. 최종학력 졸업 후 고용보험의 총 가입기간이 12개월 이하일 것 (실직 기간이 6개월을 초과할 경우 가입이 가능)

 

 

내일채움공제 지원대상

 

 

청년내일채움공제 기업 조건

1. 5인 이상의 중소기업, 중견기업 중에 3년 평균 매출액이 3,000억 원 미만일 것

(단, 청년 창업 기업이나 벤처 기업은 5인 이하 사업장도 가능)

 

 

내일채움공제 기업 조건

 

 

청년내일채움공제 참고사항

학력에는 제한 사항이 없으나, 대학에 재학 중이거나, 휴학 중인 사람은 가입이 불가합니다.

마지막 학기 조기 취업의 경우에는 졸업 예정자로 분류되어 가입이 가능하다고 하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내일채움공제 재직자 가입 조건 (6개월 이상 재직자)

재직자 가입조건은 근속기간이 6개월 이상인 청년 재직자입니다.

 

재직자와 청년내일채움공제의 차이점은 근속기간과 가입조건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재직자의 경우 근속기간이 6개월 이상, 가입기간은 5년이며 월 부담금액은 12만 원입니다.

 

청년과 재직자의 월 부담금은 5,000원 밖에 차이가 나지 않으므로 신경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다만 가입기간이 5년이라는 점이 큰 차이를 보입니다. 5년 동안 회사를 그만두지 않고 근속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5년 근속 후 환급하는 금액이 크기 때문에 버틸 수 있는 희망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재직자내일채움공제는 만기 환급금이 3,000만 원으로 총 60개월 동안 720만 원만 적금하면 받을 수 있는 금액입니다.

 

 

 

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

재직자와 청년내일채움공제의 신청방법은 청년내일채움공제 홈페이지 접속 후 화면에 보이는 신청 버튼을 클릭 후 신청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자격요건이 충족되면 승인 안내에 대한 연락이 오므로 다음 단계를 진행해주시면 됩니다.

 

 

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

 

중도해지 환급 가능 여부

가입 후 사정이 생겨 중도 해지를 할 경우 언제든지 해지가 가능합니다. 중요한 것은 본인이 지불한 금액에 대해서 환불을 받을 수 있는가?입니다. 청년 부담금에 대해서는 전액 환급이 가능하므로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지금까지 재직자, 청년내일채움공제에 대해서 포스팅했습니다. 저는 첫 직장에서 근무할 당시 회사 규모 때문에 신청했을 시 부적격으로 판정받았습니다. 이후 중소기업으로 이직하여 3년 근속 중이라 아직 신청할 수 있는 자격이 없습니다.

지금 직장에서 5년 동안 장기근속을 할 수? 있다면 신청해서 꼭 3,000만 원을 받아볼까 합니다. 노예로 살면 어떻습니까

720만 원 적립하고 3,000만 원 준다는데요? 파이팅